관리자 페이지에서 수익화탭에 광고관리 연동과 관련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알아보았습니다. 참고하시고 도움이 되시면 좋겠네요.
- 연동 목적: 애드센스 연동은 ads.txt 문제 해결과 2차 도메인 사용 블로그의 문제 해결을 위해 진행됩니다.
- 연동하지 않을 경우: 연동 후에 블로그가 연동되어 있지 않으면 애드센스 광고 송출이 불가능합니다.
- 플러그인 삭제: 연동을 하면 기존 플러그인과 저장된 내용이 모두 삭제되므로, 필요한 경우 미리 코드를 백업해야 합니다.
- 사이트 단위 연동: 연동은 계정 단위가 아닌 사이트 단위로 진행되며, 여러 블로그를 운영하는 경우 개별적으로 각각 연동해야 합니다.
- 광고 설정: 연동 후에는 '애드센스 관리'에서 광고 설정을 할 수 있으며, 광고 코드 생성 없이 자동으로 광고가 송출됩니다.
- HTML 수정 필요성: 일부 광고 설정에는 HTML 수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 특히 일치하는 광고를 사용하는 경우나 스킨에 따라서는 추가적인 HTML 수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티스토리에서 구글 애드센스 계정을 연동한 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
- 광고 미송출 또는 늦은 로딩: 애드센스 계정을 연동한 후에 광고가 송출되지 않거나 로딩이 느릴 수 있습니다. 이 경우, 계정만 연동한 상태에서 실제 광고는 수동으로 추가하는 것이 한 가지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.
- 애드센스 로고 표시 문제: 연동 후에 광고가 표시될 자리에 Google AdSense 로고만 표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로 인해 광고 수익이 급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- 광고 배치 비활성화: 광고 송출 문제로 인해 일부 사용자들은 광고 배치를 모두 비활성화하고 대신 HTML 파일에 직접 애드센스 광고 단위를 추가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.
- 스킨 변경 고려: 애드센스 광고가 제대로 표출되지 않는 문제는 사이트 속도가 느린 스킨 때문일 수 있습니다. 스킨을 변경하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.
- 수동 광고 추가: 애드센스 광고가 미송출되거나 느리게 송출될 경우, 수동으로 광고를 추가하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.
티스토리에서 구글 애드센스 계정을 연동한 후 발생할 수 있는 몇 가지 추가적인 문제들
- 광고 송출되지 않거나 느리게 로드되는 문제: 티스토리에서 구글 애드센스 계정을 연동한 후에는 광고가 송출되지 않거나 로딩이 느릴 수 있습니다. 이 경우, 계정만 연동한 상태에서 수동으로 광고를 추가하거나, 속도가 빠른 티스토리 스킨으로 변경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- 광고 수익의 급감: 애드센스 계정을 연동한 후에 광고 수익이 급감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는 광고 송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일 수 있으며, 일부 사용자는 이 문제로 인해 광고 배치를 모두 비활성화하기도 합니다.
- 스킨 변경을 통한 문제 해결: 애드센스 광고가 제대로 표출되지 않는 문제는 사용 중인 티스토리 스킨 때문에 사이트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스킨을 변경하면 이 문제가 해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 이 때, 애드센스 광고 게재 제한 여부를 먼저 확인한 후, 문제가 계속될 경우 스킨 변경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.
서브도메인과 티스토리 블로그의 특성
- 서브도메인: 서브도메인은 기본 도메인(예: example.com) 아래에 있는 추가적인 계층으로, 독립적인 웹사이트를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, blog.example.com은 'blog'라는 서브도메인을 사용합니다. 서브도메인은 주로 웹사이트의 다른 부분을 구분하거나, 별도의 기능을 가진 부분을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.
- 티스토리 블로그: 티스토리는 대한민국의 인기 있는 블로그 플랫폼 중 하나입니다. 사용자는 티스토리를 통해 개인 블로그를 운영할 수 있으며, 사용자 정의 가능한 템플릿, 다양한 플러그인, HTML/CSS 편집 기능 등을 제공합니다. 티스토리 블로그는 서브도메인을 사용하여 각 사용자의 블로그를 구분합니다. 예를 들어, user1.tistory.com은 'user1'이라는 서브도메인을 가진 티스토리 블로그입니다.